[스크랩] 그분만의 교육원리(예수님의) 그분만의 교육 원리가 있었다 예수님은 당신 가르침의 목표인 '변화'를 이끌기 위하여 일시적인 방법(方法)을 쓰시지 않고 원리(原理)로 접근하셨습니다. 예수님은 다음과 같은 자신만의 고유한 교육 원리를 가지고 계셨습니다 (구본만, 「예수 그리스도의 교육론에 근거한 전인 교육 과정 연구」 참조.. 천주교/교리 2011.04.16
[스크랩] 성령 칠은과 성령의 아홉가지 열매 성령칠은聖靈七恩 성령은 우리가 그리스도의 증인으로서 하느님의 뜻을 따르도록 생명의 은총으로 믿음과 바람과 사랑의 덕을 주실 뿐만 아니라 이를 완성하는 데 필요한 특별한 일곱가지 도움의 은사를 주시는데, 이를 성령칠은(聖靈七恩)이라고 합니다. 슬기 (지혜) 통달 (깨달음) 의견 지식 굳셈 (.. 천주교/교리 2011.04.16
[스크랩] 왕이신 그리스도 왕이신 그리스도 "'네가 왕이냐?' 하고 빌라도가 묻자 예수께서는 '내가 왕이라고 네가 말했다. 나는 오직 진리를 증언하려고 났으며, 그 때문에 세상에 왔다. 진리 편에 선 사람은 내 말을 귀담아 듣는다.' 하고 대답하셨다"(요한 18, 37). 교회 전례상 연중 마지막 주일에 거행하는 그리스도 왕 대축일은 .. 천주교/교리 2011.04.16
[스크랩] 삼종 기도의 유래 삼종 기도의 유래 5세기에 성모송이 전해지기 시작한 후 13세기에 서방 전례 안에서 성모송은 공식적인 기도문으로 이용되기 시작했다. 그런데 13세기에 최초로 프란치스코 수도회의 수도자들은 저녁 종소리가 울릴 때마다 성모송을 암송하였는데 이것이 삼종 기도의 시초가 되었으며 처음에는 저녁 .. 천주교/교리 2011.04.16
[스크랩] 여기에 물이 있다/모질었던 박해의 역사 모질었던 박해의 역사 박해의 과정 (1) 박해의 과정은 길고 험했습니다. 우리는 그 과정을 다음과 같이 약술할 수 있습니다. 1) 을사추조적발사건(1785): 1784년 창립된 한국 교회는 이듬해 명례방(지금의 명동)에 있던 김범우의 집에서 집회를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관헌에게 발각되어 일.. 천주교/교리 2011.04.16
[스크랩] 여기에 물이 있다/모질었던 박해의 역사 모질었던 박해의 역사 박해의 이유 천주교회가 한국 땅에 전래된 지 얼마 되지 않아 박해를 받기 시작했습니다. 그 이유를 우리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첫째, 조상 제사를 거부한다는 문화적인 이유 때문이었습니다. 서양의 선교사들은 조상 제사 문제를 처음 접했을 때, 이를 조상신(祖.. 천주교/교리 2011.04.16
[스크랩] 여기에 물이 있다/성직자들의 입국과 활동 성직자들의 입국과 활동 평신도들의 자발적인 신앙 활동에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성직자들이 없으면 성사의 은총을 누릴 수 없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래서 신자들은 줄곧 북경 교구에 성직자의 파견을 요청하였고 적극적으로 성직자를 영입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그 결과 1794년, 신해박해.. 천주교/교리 2011.04.16
[스크랩] 여기에 물이 있다/자랑스런 평신도들의 자발적 신앙 활동 자랑스런 평신도들의 자발적 신앙 활동 한국에 천주교회가 전래되고 오늘에 이르기까지 교회 성장의 가장 큰 원동력은 평신도들의 자발적인 신앙 활동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우리는 이를 다음의 세 가지 예(例)로서 그려볼 수 있습니다. 첫째, 평신도들의 자발적 신앙 열심은 가성직 제도의 .. 천주교/교리 2011.04.16
[스크랩] 여기에 물이 있다/한국 천주교회는 어떻게 전래되었나 한국 천주교회는 어떻게 전래되었나? /B> 서학의 연구에서 신앙의 수용으로 신앙의 둥지를 틀기까지 천주교회가 한국 땅에 처음으로 발을 들여놓은 것은 서학(西學)이라는 이름을 통해서였습니다. 조선 말기 신진 유학자(儒學者)들은 당대의 사회문제와 유학의 한계를 극복할 돌파구를 찾던 중 당시 .. 천주교/교리 2011.04.16
[스크랩] 여기에 물이있다/자랑스런 신앙의 선조들 자랑스런 신앙의 선조들 성 김대건(안드레아) 신부의 옥중 편지 한국 천주교회 최초의 사제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가 순교 직전 교우들에게 남긴 편지는 신앙인의 의연한 모습을 웅변적으로 그려 줍니다. "모든 세상일을 생각하여 보면 실로 허무한 것뿐이고 슬픈 것뿐이외다. 만약 우리들이 이러한.. 천주교/교리 2011.04.16